에디슨 세기의 전기발명 146년 만에 드디어 대한민국에서 전기 역사 새로 쓰다.


-
- 첨부파일 : 한국누설전류기술원-노벨사이언스_보도자료.pdf (11.8M) - 다운로드
본문
CEO Jung Seung-woo KELITEC
한국누설전류기술원 정승우 대표
Excellent Enterprise Exploration | Electric Invention of the Century
첨단 과학 신기술 탐방 – 한국누설전류기술원
'에디슨 세기의 전기발명' 146년 만에 드디어 대한민국에서 전기史 새로 쓰다
누설전류 포집 회수기 개발 성공기업 한국누설전류기술원 (대표 정승우)
세계 최초 물속에서도 감전되지 않는 전기 원천기술 특허보유기업
누전 시 전력공급을 유지하면서도 감전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기술
새어나온 누설전류를 막거나 끊는 대신 원래의 회로로 되돌려 보내는 기술
우리나라 버려지는 에너지 10%만 회수해도 원전 10기의 생산량·혁명적 기술
매설된 전선관 내의 누설전류를 포집해서 회수하는 첨단 전선관의 기술
Technology that fundamentally eliminates the risk of electric shock while maintaining power supply during leakage.
Instead of blocking or cutting off leaked current, the technology returns it to the original circuit.
If just 10% of the energy wasted in South Korea is recovered, it would equal the production of 10 nuclear power plants-a revolutionary technology.
Advanced technology for collecting and recovering leaked current within buried the wire tube.
90 Nobel Science
"Thomas Edison's world-changing electric invention of the century"
Finally, after 146 years, the Republic of Korea is rewriting the history of electricity, Korea Electrical Leakage Innovation Technology (CEO Seung-woo Jung), a company that has successfully developed a leakage current collection and recovery device.
The world's first company to hold a patent for electrical source technology that prevents electric shock even in water.
After 26 years of persistent research, a Korean company has created a buzz by developing the world's first technology that "does not conduct electricity even underwater."
This technology goes beyond the concept of conventional circuit breakers, which shut off power within 0.03 seconds in the event of a current leak or submersion.
This technology instantly recovers any leaking current back into the load, much faster than a circuit breaker, like a "black hole phenomenon," preventing electric shock accidents at the source.
Even more remarkable is that the exposed terminals safely maintain a power supply even when exposed to water, without any additional waterproofing or coating.
We spoke to Chairman Jung Sun-Bum about the societal impact of KELITEC (Korea Electrical Leakage Innovation Technology), a company with the potential to fundamentally transform the safety paradigm not only in industrial settings but also in everyday life.
<Editor's Note>
국내 한 기업이 26년의 끈질긴 연구 끝에 세계최초 물속에서도 감전되지 않는 전기기술을 개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누전이나 침수 시 0.03초 내 전원을 차단하는 기존 누전차단기의 개념을 넘어, 새어 나가는 누전전류를 누전차단기보다 더 빠른 시간에 '블랙홀현상'처럼 즉시 부하전류로 회수하여 감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막는 기술이다.
더 놀라운 점은 별도의 방수나 코팅 없이 노출된 단자가 물에 닿아도 안전하게 전력 공급이 유지 된다는 점이다.
산업현장은 물론, 일상의 안전 패러다임을 송두리째 바꿀 잠재력을 품고 있는 한국누설전류기술원(KELITEC, Korea Electrical Leakage Innovation Technology)의 기술과 보급으로 인한 사회적 파급효과에 관해 정순범 회장에게 들어본다.
<편집자주>
Reporter: Joo-Hyun Kim / Photo: Dong-Hyun Won 김주현 기자/사진 원동현 실장
Even if you put an industrial 3-phase 380V high- voltage current terminal in a fish tank, the goldfish will not feel the leakage electricity.
The effectiveness of this remarkable technology is tangible.
Even when a power terminal carrying a high-voltage, 380V industrial three-phase current used in industrial settings is placed directly into the water of a live fish tank, the fish cannot feel it at all.
This is because the leakage current flowing into the water is only 0.8 to 1.5 milliamperes (mA), which is barely perceptible to the human body.
Considering that the lethal dose, which can shock the heart and cause death, is approximately 15 mA, this is an astonishing level of safety.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physical principles of electricity itself are controlled, without the need for any additional waterproofing or coating.
Rewriting the dream of electrical safety by 'recovering' leakage current, not 'cutting off' it.
Since Thomas Edison invented the light bulb in 1879, elec-
산업용 3상 380V 고압 전류단자를 어항 속에 담궈도 금붕어가 누설전기 못느껴
이 놀라운 기술의 효과는 눈으로 확인되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산업용 3 상 380V 고압 전류가 흐르는 전력 단자를 물고기가 살아있는 어항의 물속에 그대 로 집어넣어도 물고기가 전혀 못느낀다.
왜냐하면 물속으로 새어나오는 누설전류 는 인체가 거의 느낄 수 없는 0.8~1.5mA(밀리암페어) 수준에 불과하다.
심장에 충격을 주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치사량이 약 15mA임을 감안하면 경이로 운 수준의 안전성이다.
이는 별도의 방수나 코팅 없이 전기 자체의 물리적 원리를 제어하기에 가능한 일이다.
누설전류 '차단' 아닌 '회수'로, 전기 안전 꿈의 역사를 새로 쓰다
1879년 토머스 에디슨이 전구에 불을 밝힌 이래, 전기는 인류의 삶을 송두리째 바꾼 위대한 발명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지난 146년간 그 찬란한 빛의 이면에 는 감전, 누전, 과전류로 인한 화재라는 치명적인 그림자가 항상 따라다녔다.
이 오래된 숙제를 마침내 해결할 기술이 대한민국에서 탄생했다.
국내 기업 한국누설 전류기술원이 26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한 이 기술은 단순히 '감전되지 않는 전기' 를 넘어, 버려지던 에너지를 회수하는 '자원 혁명'의 서막도 열고 있다.
전기로 인 한 산업재해를 90% 이상 획기적으로 줄일 이 기술은 전 세계로부터 대한민국의 '대체 불가능한 원천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